단독주택 제대로 지으려면 공원 주변 '北高南低' 터가 최고 | |
택지개발지구 안에 단독주택을 지을 수 있는 택지에 대한 관심이
높아지고 있다. 단독주택지는 한국토지공사 대한주택공사 지방자치단체 등이 개발하는 택지지구 내에서 추첨방식으로 일반에 공급되는 땅으로 △기반시설이 잘 갖춰져 있고 △지역난방이어서 난방비가 절감되며 △쾌적한 전원생활이 가능하다는 점 등 때문에 인기가 급상승하고 있다. 토공은 단독주택지의 매입단계에서부터 설계·시공·사후관리까지 안내하는 '단독주택 이용설명서'를 발간,일반에 무료로 보급하고 있다. 단독주택지 활용지침서의 내용을 소개한다. ◆매입=우리나라는 4계절이 뚜렷하기 때문에 햇볕과 바람의 방향이 가장 중요하다. 북쪽이 높고 남쪽이 낮은 곳이 좋다. 필지의 긴 변(장변)이 남북으로 향해야 한다. 지형이 평탄하다면 정방형 토지가 적당하다. 단독주택지의 쾌적성을 살리려면 아파트나 중심상업지에서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게 좋다. 근린공원이 주변에 위치하고 있다면 최상이다. 다만 호수나 하천 등 상습 안개지역은 폐질환이나 관절염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. ◆설계 및 시공=단독주택을 설계할 때는 요즘 시류에 맞게 '웰빙'을 염두에 두면 좋다. 동지 때 남쪽 창문을 통해 최소 4시간 이상 일조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게 중요하다. 주택 지붕은 직사각형에 가까운 형태여야 공사비가 적게 들고 비가 새는 원인을 없앨 수 있다. 주택설계를 할 때 체크할 항목으로는 △이웃과의 독립성이 보장되는지 △장래 가족구조 변화에 대비할 수 있는지 △실내 통풍 및 채광이 잘 되는지 △창고가 따로 마련됐는지 등이다. 실내구조로는 남향에 거실 자녀방 발코니 등이,동향에 침실 식당 주방 등이,서향에 욕실 건조실 등이 적당하다. 마당은 건물 연면적의 세 배 정도가 좋다. 필지 크기가 200평을 넘을 경우 일반건설업 면허를 가진 시공업체를 선정해야 하지만,이보다 작으면 자재를 구해 직접 지을 수 있다. 업체에 맡기기 전에는 자재의 샘플을 받아 작은 부분까지 지정해 줘야 안전하다. ◆입주=입주할 때 역시 체크리스트대로 따져볼 필요가 있다. 방문이 열렸을 때 다른 가구와 닿지는 않는지,창문 잠금장치에 이상은 없는지,벽지·마루 등 마감상태는 괜찮은지,욕실 배수가 원활한지 등을 먼저 살펴봐야 한다. 특히 하자가 발생할 경우 보수에 대한 법적 구속력이 없기 때문에 공사계약을 맺을 때 이에 대해 약정을 맺어두는 게 중요하다. 조재길 기자 road@hankyung.com |
|